diff --git a/final/FOSS/keybind.png b/final/FOSS/keybind.png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4b1c4a8f24396a525f58d47114dea7fc638db0c6
Binary files /dev/null and b/final/FOSS/keybind.png differ
diff --git a/final/vsc_manual.md b/final/vsc_manual.md
index 2d6d140e8df1bd772e0911dc99e681b1fd185d7a..0790cd141efe46256797b06de56c83a43af27fee 100644
--- a/final/vsc_manual.md
+++ b/final/vsc_manual.md
@@ -290,6 +290,19 @@ git [다운로드](https://git-scm.com/download/win) : git-scm
 |CTRL + N|파일 생성|workbench.action.files.newUntitiledFile|  
 |CTRL + K 이후 CTRL + F|(지원하는 파일에 한에서) 들여쓰기 정렬|editor.action.formatSelection|  
 
+- 단축키는 파일 -> 기본 설정 -> 바로가기 키 또는 CTRL + K 이후 CTRL + S 단축키를 통해 직접 설정할 수 있고 또   
+<img src="./FOSS/keybind.png" alt="keybind"/>   
+해당 버튼으로 직접 keybindings.json을 수정하여 단축키를 추가할 수 있다. 단축키를 추가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
+       {
+              "key": "누를 키",
+              "command": "실행할 명령 ID",
+              "when": "명령이 실행되는 조건"
+       },
+   >팁 : 누르는 키는 간단하게 "ctrl+k" 또는 "cmd+k" 등으로 쓸 수 있고 command에서는 실행할 명령어의 ID를 작성하면 된다. when은 이 명령이 실행되는 특이한 조건을 넣을 수 있는데 이 when은 옵션으로 필수가 아니다.
+
+   따라서 이 keybindings.json을 다른 VSCode 환경에 옮기기만 하면 쉽게 내가 쓰던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다.
+
 # 6. 기타 유용한 Addon   
 
 1. Error Lens : `usernamehw.errorle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