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HW3/README.md b/HW3/README.md
index b797cf2852135308adb59d9239df7a385ab1fdef..4b62e2d11298979a153f14466a0d079e969e8826 100644
--- a/HW3/README.md
+++ b/HW3/README.md
@@ -25,51 +25,51 @@
 
 # GCC command
 - -E option: 전처리까지만 실행항 .i file 생성
-    - 사용법: gcc -E <filename>.c > <filename>.i
+    - 사용법: gcc -E <""filename"">.c > <""filename"">.i
     - ![1](./image/1.PNG)
 
 - -S option: 어셈블리까지 실행하여 .s file 생성
-    - 사용법: gcc -S <filename>.i
+    - 사용법: gcc -S <"filename">.i
     - ![2](./image/2.PNG)
 
 - -c option: 전처리, 컴파일, 어셈블 실행하지만 링크는 안함 -> .o file 생성
-    - 사용법: gcc -c <filename>.s
+    - 사용법: gcc -c <"filename">.s
     - ![3](./image/3.PNG)
 
 - -g option: 운영체제 고유의 형식으로 디버깅 정보를 만듦
-    - 사용법: gcc- -g <filename>.c
-    - ![7](./image/7.PNG)
+    - 사용법: gcc- -g <"filename">.c
+    - ![7](./image/7.png)
     - 디버깅 정보를 추가하여 컴파일 하였기 때문에 용량이 더 큼
 
-- -o <file> option: 출력파일의 이름을 지정할 수 있음
-    - 사용법: gcc -o <filename> 01.option-E.c
+- -o <"filename"> option: 출력파일의 이름을 지정할 수 있음
+    - 사용법: gcc -o <"filename"> 01.option-E.c
     - ![4](./image/4.PNG)
 
-- -I<dir> option: C source가 표준 디렉토리가 아닌 위치에 있는 헤더 파일을 가질 때, 해당 디렉토리 위치 지정해줌
-    - 사용법: gcc <filename>.c -l<dir>
+- -I<""dir""> option: C source가 표준 디렉토리가 아닌 위치에 있는 헤더 파일을 가질 때, 해당 디렉토리 위치 지정해줌
+    - 사용법: gcc <"filename">.c -l<"dir">
     - ![6](./image/6.PNG)
 
-- -l<library name>: 표준 라이브러리가 아닌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싶을 때, 해당 라이브러리 지정해줌
-    - 사용법: gcc <filename>.c -l<libraryname>
+- -l<"libraryname">: 표준 라이브러리가 아닌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싶을 때, 해당 라이브러리 지정해줌
+    - 사용법: gcc <"filename">.c -l<"libraryname">
     - ![11](./image/11.PNG)
 
-- -L<dir> option: 사용자가 라이브러리를 직접 만들거나 새 라이브러리를 내려 받아 사용할 때, 해당 라이브러리 지정해줌
-    - 사용법: gcc -L<library directory>
+- -L<"dir"> option: 사용자가 라이브러리를 직접 만들거나 새 라이브러리를 내려 받아 사용할 때, 해당 라이브러리 지정해줌
+    - 사용법: gcc -L<"library directory">
 
-- -D<macro> option: #define MACRO를 선언 해준다.
+- -D<"macro"> option: #define MACRO를 선언 해준다.
     - 사용법: gcc -D<정의할 MACRO 이름>
     - ![8](./image/8.PNG)
     - #define NO를 -DNO로 선언함으로써 오류없이 컴파일됨
 
-- -O<level> option: -O1, O2, O3의 세가지의 옵션이 존재하고 최소한의 스레드 분기 동작 횟수를 줄인다. 컴파일 시간은 증가하지만, 실행은 빨라짐
-    - 사용법: gcc -O2 <filename>.c
+- -O<"level"> option: -O1, O2, O3의 세가지의 옵션이 존재하고 최소한의 스레드 분기 동작 횟수를 줄인다. 컴파일 시간은 증가하지만, 실행은 빨라짐
+    - 사용법: gcc -O2 <"filename">.c
 
 - -wall: gcc가 제공하는 모든 경고 메시지 출력
-    - 사용법: gcc -Wall <filename>.c
+    - 사용법: gcc -Wall <"filename">.c
     - ![10](./image/10.PNG)
 
 - -v option: 컴파일 과정과 version 출력
-    - 사용법: gcc -v <filename>.c
+    - 사용법: gcc -v <"filename">.c
     - ![9](./image/9.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