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2c8ac3bb685f072ff1f1648934ad3640a90745bd..e1f7ea173495d309e1118157635cf15f2b485eb0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1,21 +1,21 @@
 Final Project : GPLv3 번역 및 특허조항 관련 사례 분석
 
-1. 아이템 선정 동기
+1. 아이템 선정 동기:
  변리사시험에 합격함에 따라 향후 커리어에 도움이 될 만한 task를 고민하다가,
 교수님과의 면담을 통해 GPL 라이센스를 이해하고 있으면 클라이언트(고객)의 특허 관련 문의 및 사업방향을 컨설팅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아 해당 아이템을 선정함.
 
-2.GPL이란?
+2.GPL이란?:
  General Public License의 약자로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만든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소프트웨어의 실행, 연구, 공유, 수정의 자유를 최종 사용자에게 보장한다. GPL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자유 소프트웨어의 권한을 누리며 카피레프트를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자유가 보전되고, 이전 작업 내용을 수정하거나 다른 내용을 추가하는 것도 허용됐다. 이는 허용적인 자유 소프트웨어 사용 허가로서, BSD 사용 허가가 대표적인 예이다. (출처: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GNU_%EC%9D%BC%EB%B0%98_%EA%B3%B5%EC%A4%91_%EC%82%AC%EC%9A%A9_%ED%97%88%EA%B0%80%EC%84%9C)
 
-3. 프로젝트 중 문제점
+3. 프로젝트 중 문제점:
  공식적인 문서이다 보니 formal한 언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다.
  다만, 번역하면서 GPLv3에 대해 깊게 공부하다 보니, 본인이 가진 특허법적 지식과 융화되어 이해되면서 흥미를 느꼈다.
 
-4. 번역 참조 출처
+4. 번역 참조 출처:
 오픈소스SW라이선스 종합정보시스템 (https://olis.or.kr/license/Detailselect.do?lId=1072)
 
-5. 느낀 점
+5. 느낀 점:
  GPLv3를 번역하면서 영어실력도 많이 향상된 것 같고, 특허조항을 분석하면서 특허전문가로서 어떻게 이 라이센스를
  이해해야 할지도 많이 고민했던 것 같다. 실무에서도 GPL 라이센스를 알고 있음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최대한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변리사가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