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three_files_folder/2020_08_07.md b/three_files_folder/2020_08_07.md index c4f7a05e75ba550ace3b9fc5f61a16a5205c9b1c..1fa5bbb2d0d204ef80e492671b1aacdf48eaa6f8 100644 --- a/three_files_folder/2020_08_07.md +++ b/three_files_folder/2020_08_07.md @@ -24,11 +24,12 @@ > 2. 내장매크로 < : 의존파일 중 첫번째 파일명 > 3. 결국 의존파일 중 확장자가 .c인 C소스코드나 .o인 Object파일들에 대해 모두 gcc -c -O -Wall을 수행한 것. -### 4. make clean : +### 4. make clean <p>make의 결과로 생긴 Object 파일들과 실행 파일을 삭제한다. 원래는 최종 실행파일을 만드는데 필요한 Object 파일들이 현재 디렉토리 내에 없을 경우 에러를 발생시키지만, -rm을 사용하면 삭제하고자하는 파일이 없더라도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고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Object 파일을 따로 생성해두지 않고 바로 빌드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rm OBJS를 사용했고 반면 실행파일은 반드시 make clean의 대상이어야 하기에 -rm이 아닌 rm을 썼다.</p> + ### 5. gccmakedep <p> 소스파일의 의존관계를 자동으로 찾아 파일간의 종속에 대한 정보를 모두 타이핑할 필요가 없어짐. make dep을 실행시키면 dep 라벨 밑에 명령이 생성되고, 이후 make시 컴파일과 링크를 dep 라벨 밑의 명령으로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