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5038f510fcf16344237550ec01c3df3b9f2d2f40..ab3e386378f10b7984a67ab7ca8878a5cf30f43b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1,9 +1,13 @@
 # foss-2024-2-final
 
+**소프트웨어학과 202020783 조우성**
+
 
 
 ## 아이템 선정 동기
 
+
+
 **기존에 아두이노에 ai를 탑재하는 on-device를 몇 번 해봤다.**
 
 **당시 프로젝트를 하면서 여기저기 정보를 검색해 봤지만, 아직 아두이노 on-device의  정보가 많지는 않아서 가시밭길을 걸어가며 많은 시행착오를 했었다.**
@@ -12,6 +16,8 @@
 
 **이번 과제를 통해서 다음으로 아두이노에 on-device ai를 시도하는 사람에게 조금이라도 더욱 쉬운 가이드 라인을 주고 싶어 이러한 주제를 선택하게 되었다.**
 
+
+
 ## 개발 환경 및 도구
 
 - window 11 
@@ -19,20 +25,34 @@
 - C++, Python
 - arduino nano ble 33
 
+
+
 ## 개발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
 
+
+
 **먼저 개발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아두이노에 모델을 호환시키는 과정이었다.**
 
 **아두이노는 mermory, power 등 다양한 resource 부분에서 상당한 한계를 가지고 있고, 그에 맞게 모델을 경량화하고 최적화 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아두이노 코드 부분과 모델 경량화 부분에서 수많은 오류가 발생하였고 당시 부족한 정보로 인하여 오류를 하나하나 해결하는데 상당한 시간들을 보냈다.**
 
+
+
 ## 감상, 느낀점
 
+
+
 **특정 연구에 관련된 방대한 커뮤니티가 생겨나는 시작점에 나 또한 있다고 느꼈다.**
 
 **On-device는 아직 많은 발전이 요하는 부분이고 이 관련에서 수많은 edge-device에 관련된 커뮤니티에서 아직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꼈다.**
 
 **이번에 선택한 나의 프로젝트가 그러한 방대한 커뮤니티가 생겨나는 시작점에 기여할 수 있었다는 부분에서 감회가 새로웠다.**
 
-**커뮤니티 발전은 전문성이 높은 사람들만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닌, 그저 누구나 새로운 지식, 정보 등을 그 다음 사람이 더욱 편하게 이해 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하나씩 쌓아 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 No newline at end of file
+**커뮤니티 발전은 전문성이 높은 사람들만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닌, 그저 누구나 새로운 지식, 정보 등을 그 다음 사람이 더욱 편하게 이해 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하나씩 쌓아 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
+
+
+## 참고자료
+https://mobed.yonsei.ac.kr/index.php?mid=Homepage 
+https://github.com/spaziochirale/Chirale_TensorFlowLite
\ No newline at end of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