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README_\352\270\260\353\247\220\352\263\274\354\240\234\353\263\264\352\263\240\354\204\234.md" "b/README_\352\270\260\353\247\220\352\263\274\354\240\234\353\263\264\352\263\240\354\204\234.md"
index 3671c2889714ab760ba409353f5ede37a6d62e29..3a3c9ef0861c1effcaf18d6aed712a9dfabf1c6f 100644
--- "a/README_\352\270\260\353\247\220\352\263\274\354\240\234\353\263\264\352\263\240\354\204\234.md"
+++ "b/README_\352\270\260\353\247\220\352\263\274\354\240\234\353\263\264\352\263\240\354\204\234.md"
@@ -241,6 +241,8 @@ AUDACITY_DLL_API wxFrame &GetProjectFrame( AudacityProject &project )
 # 느낀점
 
 박영민
+
+
 맨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C++를 사용해보지 않은 상태였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 초반에는 Audacity의 코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C++의 문법과 특성을 익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드를 해독하고 프로그램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C++의 기본적인 문법을 학습했고 이를 통해 결과 Audacity의 구조와 클래스들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는 코드를 작성하고 Audacity를 빌드해 폰트 변경을 확인했어야 했다.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해본 경험은 없었기에  빌드 시에 파일이 꼬이고, 설정이 잘못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이를 통해 코드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빌드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