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final_project/README.md b/final_project/README.md index 171a2b03f86bdecf111620fb8b25b239859bc0a5..00ce61f0b92435ee4b8cf54cb5c44f51909e8b91 100644 --- a/final_project/README.md +++ b/final_project/README.md @@ -1,26 +1,25 @@ **WebGL Final Project** -1. 개요 ++1. 개요 --Computer Graphics 수업을 통해 단계에 거친 실습과정과 이론수업으로 WebGL의 여러 기능과 구현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Final Project는 지금까지의 WebGL수업의 모든 부분을 담아 실습과제보다 더 퀄리티 있는 프로젝트를 구현하려 한다. -수업에서 shading에 관한 이론과 실습을 진행하면서 그 동안에 구현했던 이미지와는 다르게 광원과 그 위치를 통해 마치 실제로 존재하는 -물체를 구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보았다. -따라서 이번 프로젝트는 phong shading을 통한 입체도형을 구현하고자 한다. -Light Position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광원의 위치를 설정할수 있고, Depth test도 구현하여 도형의 회전 시 이질감이 들지 않게 하였다. + +Computer Graphics 수업을 통해 단계에 거친 실습과정과 이론수업으로 WebGL의 여러 기능과 구현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 Final Project는 지금까지의 WebGL수업의 모든 부분을 담아 실습과제보다 더 퀄리티 있는 프로젝트를 구현하려 한다. + 수업에서 shading에 관한 이론과 실습을 진행하면서 그 동안에 구현했던 이미지와는 다르게 광원과 그 위치를 통해 마치 실제로 존재하는 + 물체를 구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보았다. + 따라서 이번 프로젝트는 phong shading을 통한 입체도형을 구현하고자 한다. + Light Position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광원의 위치를 설정할수 있고, Depth test도 구현하여 도형의 회전 시 이질감이 들지 않게 하였다. ------------------------------ -2. 기능 ++2. 기능 -프로젝트의 핵심파트인 phong shading을 중점적으로 표현하려 했기에 기능을 많이 축소해서 구현하였다. -Light Position으로 광원의 위치를 x,y,z방향으로 설정할수 있으며 z<0 이면 광원이 뒤쪽으로 사라져 물체의 색이 잘 나타나지않는다. -number of vertex로 vertex의 갯수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게끔 설정해놓았다. -Toggle Animation으로 도형을 Rotating을 On/Off하고 +/- 버튼으로 Rotating Speed도 조절할 수 있다. -FOV도 range를 만들어놓아서 사용자가 보는 도형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Depth test와 Depth clear value도 구현해서 Z-buffer에 대한 다양한 설정도 가능하다. + 프로젝트의 핵심파트인 phong shading을 중점적으로 표현하려 했기에 기능을 많이 축소해서 구현하였다. + Light Position으로 광원의 위치를 x,y,z방향으로 설정할수 있으며 z<0 이면 광원이 뒤쪽으로 사라져 물체의 색이 잘 나타나지않는다. + number of vertex로 vertex의 갯수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게끔 설정해놓았다. + Toggle Animation으로 도형을 Rotating을 On/Off하고 +/- 버튼으로 Rotating Speed도 조절할 수 있다. + FOV도 range를 만들어놓아서 사용자가 보는 도형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 Depth test와 Depth clear value도 구현해서 Z-buffer에 대한 다양한 설정도 가능하다. ------------------------------ 3. 구현결과 [이미지](file:///D:/ezgif.com-gif-maker.gif) -[](file:///D:/cg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