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00af03758454d6bdcb6eed0ee84f49c54711fc30 Mon Sep 17 00:00:00 2001
From: =?UTF-8?q?=EC=9E=A5=ED=98=84=ED=98=B8?= <susu2680@ajou.ac.kr>
Date: Thu, 23 Jun 2022 14:23:46 +0000
Subject: [PATCH] Update README.md

---
 README.md | 2 +-
 1 file changed, 1 insertion(+), 1 deletion(-)

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a216846..43bce57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17,7 +17,7 @@ Android 9.0(API 수준 28)의 출시와 함께 Jetpack의 일부인 새로운 
 ### 1) XML 파일이 아니 코드로 UI를 개발
 오랫동안 xml 파일을 이용한 UI와 코드를 연결하는 방법은 꾸준히 개선되어왔습니다. 하지만 Jetpack Compose가 나오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xml파일을 사용한다는 그 자체입니다. Xml로 UI를 그릴 경우 중간에는 여러분이 잘 아시는 findViewById 같이 중간 역할을 하는 계층이 존재를 해야합니다. 아이디를 가지고 UI를 부르고 어떤 UI가 포함되는지 알아야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려운 Tightly coupling, 즉 강한 의존성을 갖게 됩니다. 시간이 많이 흐른 뒤 이를 유지, 보수, 수정하고 싶을 때 그에 연관을 갖는 코드들의 수정이 이뤄져야 하며 이는 런타임 에러를 발생시킬 확률을 높이게 됩니다.
 
-### 2) 강력한 성능을
+### 2) 강력한 성능
 Compose Develop 문서에서 Compose를 사용해야 하는 문서를 보면 이러한 말이 적혀있습니다. "Compose는 선언적 UI보다 더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도 했으며 접근성 API, 레이아웃 등 모든 항목이 개선되었습니다. 만들고 싶은 것과 실제로 만드는 것 사이의 차이가 줄어듭니다.” 이는 Android 플랫폼 API에 직접 액세스하고 머티리얼 디자인, 어두운 테마, 애니메이션 등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여 앱을 만들 수 있다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또한 머테리얼 디자인과 자체 디자인을 분리하여 머테리얼 기반에서 갖는 디자인 요구사항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 3) 이 외
-- 
Git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