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8cd2cc2b74c65a321fe6a792dedfc0ca052c5f77..0cd5e83df91682c87bca5662addcf865adc7a009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1,4 +1,30 @@
 # foss-2024-2-final
 
+## 202021953 홍유빈 PintOS Project Manual Translation (ENG -> KOR) 프로젝트
+
+PintOS Project Manual 번역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기존 메뉴얼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https://casys-kaist.github.io/pintos-kaist/ `
+
+
+이 프로젝트는 202128675 Mingyun Kim (김민균) 학생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저는 PintOS 메뉴얼의 Intro, Part1을 담당하여 번역하였고, 김민균 학생은 Part2, 4를 맡아 번역하였습니다. Part 2, 4 번역 부분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https://git.ajou.ac.kr/leokim415/foss-2024-2-final/-/tree/main?ref_type=heads`
+
+
+## 프로젝트 주제 선정 동기
+
+먼저 해당 프로젝트 아이템은 팀원인 김민균 학생의 추천으로 접하게 되었습니다. PintOS Project Manual을 읽어보니 OS의 핵심개념으로 꼽을 수 있는 멀티스레딩,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운영체제 학습 과정에 큰 효과를 줄 수 있을거라 판단하였습니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를 번역하며 저 역시 운영체제 동작 원리를 보다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러 학습자와 PintOS Project Manual 이용자들의 접근성과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생각했습니다.
+
+## 번역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
+
+번역 과정에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용어 정의입니다. 아무래도 전문적인 용어를 번역하는데 있어서는 정확성과 가독성 모두 보존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부분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예를 들면 `optimization barriers` 용어를 `최적화 장벽`으로 번역을 할지, 
+원문 그대로 `Optimization Barriers`를 사용할지 고민했었습니다. 한국어로 번역할 때 `최적화 장벽`이라는 표현이 직역으로 사용되긴 하지만, 이 용어가 널리 통용되지는 않기에 `최적화 장벽(Optimization Barriers)`와 같은 형태로 전달력있게 번역하였습니다. 
+
+## 감상
+
+Pintos 번역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단순히 번역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체제 구조와 개념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보다 더 정확하고, 가독성 있게 전달하려 노력하며 이러한 과정이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른 한국어 자료들이 부정확하고 미흡할 수 있음을 실감하며 제대로 번역된 자료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 번역이 다른 학습자, 이용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