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2181138bb13969ea1b63695a80142ab374fb3fc3 Mon Sep 17 00:00:00 2001
From: Hwanyong Lee <hwan@ajou.ac.kr>
Date: Wed, 23 Mar 2022 15:24:21 +0900
Subject: [PATCH] =?UTF-8?q?##=20Image=20data=20in=20`images`=20-=20`images?=
 =?UTF-8?q?`=EC=9D=98=20=EC=9D=B4=EB=AF=B8=EC=A7=80=20=EB=8D=B0=EC=9D=B4?=
 =?UTF-8?q?=ED=84=B0?=
MIME-Version: 1.0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Content-Transfer-Encoding: 8bit

---
 gltfTutorial/gltfTutorial_002_BasicGltfStructure.md | 2 +-
 1 file changed, 1 insertion(+), 1 deletion(-)

diff --git a/gltfTutorial/gltfTutorial_002_BasicGltfStructure.md b/gltfTutorial/gltfTutorial_002_BasicGltfStructure.md
index 9fbf143..8e16eb9 100644
--- a/gltfTutorial/gltfTutorial_002_BasicGltfStructure.md
+++ b/gltfTutorial/gltfTutorial_002_BasicGltfStructure.md
@@ -111,7 +111,7 @@ This binary data is just a raw block of memory that is read from the URI of the
 이 바이너리 데이터는 메모리의 원시 블록으로서 `buffer`의 URI로부터 읽게 됩니다. 이때 상속 개념이나 구조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Buffers, BufferViews, and Accessors](gltfTutorial_005_BuffersBufferViewsAccessors.md) 절에서는 어떻게 원시 데이터가 자료형과 데이터 레이아웃 정보를 갖게 만드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정보로 부터, 데이터의 일부분은 예를들면, 애니메이션 데이터로, 다른 부분은 기하 데이터로 해석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바이너리 형식으로 저장함으로써 JSON 포맷으로 전송하는 것에 비해 훨씬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바이너리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렌더러에 전달되므로 디코드나 전처리가 필요하지 않게 됩니다. 
 
 
-## Image data in `images` - 
+## Image data in `images` - `images`의 이미지 데이터
 
 An [`image`](https://www.khronos.org/registry/glTF/specs/2.0/glTF-2.0.html#reference-image) may refer to an external image file that can be used as the texture of a rendered object:
 
-- 
Git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