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1,7 +211,7 @@ Without ever having to discuss it, Carl and I knew we had a common goal of havin
...
@@ -211,7 +211,7 @@ Without ever having to discuss it, Carl and I knew we had a common goal of havin
## 사용자가 있다는 것의 중요성
## 사용자가 있다는 것의 중요성
And so I inherited popclient. Just as importantly, I inherited popclient's user base. Users are wonderful things to have, and not just because they demonstrate that you're serving a need, that you've done something right. Properly cultivated, they can become co-developers.
(송선웅)And so I inherited popclient. Just as importantly, I inherited popclient's user base. Users are wonderful things to have, and not just because they demonstrate that you're serving a need, that you've done something right. Properly cultivated, they can become co-developers.
그래서 내가 popclient를 넘겨 받았다. 내가 popclient의 사용자들을 넘겨받았다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사용자들이 있다는 것은 매우 좋은 일이다. 당신이 누군가의 필요를 충족시켜주고 있으며 일을 잘 해나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만은 아니다. 적절하게 유도해 준다면 사용자들은 공동개발자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내가 popclient를 넘겨 받았다. 내가 popclient의 사용자들을 넘겨받았다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사용자들이 있다는 것은 매우 좋은 일이다. 당신이 누군가의 필요를 충족시켜주고 있으며 일을 잘 해나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만은 아니다. 적절하게 유도해 준다면 사용자들은 공동개발자가 될 수도 있다.
...
@@ -227,7 +227,7 @@ And so I inherited popclient. Just as importantly, I inherited popclient's user
...
@@ -227,7 +227,7 @@ And so I inherited popclient. Just as importantly, I inherited popclient's user
이 효과의 위력은 과소평가되기 쉽다. 사실, 오픈 소스 세계의 우리들조차 시스템의 복잡도에 대항하여 많은 수의 사용자가 얼마나 힘이 되는지를 리누스 토발즈가 보여주기 전까지는 과소평가하고 있었다.
이 효과의 위력은 과소평가되기 쉽다. 사실, 오픈 소스 세계의 우리들조차 시스템의 복잡도에 대항하여 많은 수의 사용자가 얼마나 힘이 되는지를 리누스 토발즈가 보여주기 전까지는 과소평가하고 있었다.
In fact, I think Linus's cleverest and most consequential hack was not the construction of the Linux kernel itself, but rather his invention of the Linux development model. When I expressed this opinion in his presence once, he smiled and quietly repeated something he has often said: "I'm basically a very lazy person who likes to get credit for things other people actually do." Lazy like a fox. Or, as Robert Heinlein famously wrote of one of his characters, too lazy to fail.
(송선웅)In fact, I think Linus's cleverest and most consequential hack was not the construction of the Linux kernel itself, but rather his invention of the Linux development model. When I expressed this opinion in his presence once, he smiled and quietly repeated something he has often said: "I'm basically a very lazy person who likes to get credit for things other people actually do." Lazy like a fox. Or, as Robert Heinlein famously wrote of one of his characters, too lazy to fail.
실제로 나는 리누스의 가장 영리하고 가장 중요한 해킹은 리눅스 커널을 만들었다는 점이 아니라 리눅스 개발모델을 만들었다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리누스에게 이 의견을 말해 주었더니 그는 씨익 웃고서 조용히 여러번 하던 말을 되풀이했다. "난 기본적으로 매우 게으른 사람이라서 실제로는 다른 사람들이 해놓은 일을 가지고 공로라고 인정받곤 해요." 여우처럼 게으르군. 로버트 하인라인이라면 `실패하기에는 너무 게으르다' 고 말했을 것이다.
실제로 나는 리누스의 가장 영리하고 가장 중요한 해킹은 리눅스 커널을 만들었다는 점이 아니라 리눅스 개발모델을 만들었다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리누스에게 이 의견을 말해 주었더니 그는 씨익 웃고서 조용히 여러번 하던 말을 되풀이했다. "난 기본적으로 매우 게으른 사람이라서 실제로는 다른 사람들이 해놓은 일을 가지고 공로라고 인정받곤 해요." 여우처럼 게으르군. 로버트 하인라인이라면 `실패하기에는 너무 게으르다' 고 말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