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nippets Groups Projects
Commit 303a07ce authored by 고종환's avatar 고종환
Browse files

Update README.md

parent 4b1022a4
No related branches found
No related tags found
No related merge requests found
...@@ -7,6 +7,7 @@ get GNU/Linux!라는 웹사이트를 webslate에서 번역 기여하였다. ...@@ -7,6 +7,7 @@ get GNU/Linux!라는 웹사이트를 webslate에서 번역 기여하였다.
## 동기 ## 동기
기말 과제를 위한 주제를 webslate에서 탐색하다가 이 웹사이트를 발견하였다. 기말 과제를 위한 주제를 webslate에서 탐색하다가 이 웹사이트를 발견하였다.
리눅스 기반의 자유 오픈소스 OS에는 어떤 것이 있고 어떤 장단점이 있을지 흥미가 생겼기 때문에 이 사이트에 본격적으로 알아보고 내용을 읽어보았다. 리눅스 기반의 자유 오픈소스 OS에는 어떤 것이 있고 어떤 장단점이 있을지 흥미가 생겼기 때문에 이 사이트에 본격적으로 알아보고 내용을 읽어보았다.
확인해보니 이 웹사이트는 의외로 어떻게 그누 리눅스 기반 자유 오픈소스 운영체제를 다운로드하고 소개하는 것에 그치는 수준이 아니라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사이트였다. 확인해보니 이 웹사이트는 의외로 어떻게 그누 리눅스 기반 자유 오픈소스 운영체제를 다운로드하고 소개하는 것에 그치는 수준이 아니라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사이트였다.
...@@ -22,33 +23,41 @@ get GNU/Linux!라는 웹사이트를 webslate에서 번역 기여하였다. ...@@ -22,33 +23,41 @@ get GNU/Linux!라는 웹사이트를 webslate에서 번역 기여하였다.
## 발생했던 문제점 ## 발생했던 문제점
1) 번역 분량 1) 번역 분량
번역할 내용이 생각보다 방대하고 아직 한국어 번역에 대한 진행사항이 존재하지 않아 무려 9889 단어를 번역해야하는 것이 문제였다. 번역할 내용이 생각보다 방대하고 아직 한국어 번역에 대한 진행사항이 존재하지 않아 무려 9889 단어를 번역해야하는 것이 문제였다.
현실적으로 이 내용을 전부 커버하기는 힘들어서 우선순위가 높은 내용을 약 50%를 채우는 것으로 목표했다. 현실적으로 이 내용을 전부 커버하기는 힘들어서 우선순위가 높은 내용을 약 50%를 채우는 것으로 목표했다.
2) 원문 유지의 적절성 2) 원문 유지의 적절성
예를들어, Trusted computing이라는 용어를 번역할 때 고민이 되었는데, 생소한 용어라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이 이해를 도울 것 같았지만, 예를들어, Trusted computing이라는 용어를 번역할 때 고민이 되었는데, 생소한 용어라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이 이해를 도울 것 같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컴퓨팅"이라고 번역하기에는 완전한 명사형으로 떨어지는 단어가 아니라서 오히려 오해를 불러일으키게 되는 것 같다. "신뢰할 수 있는 컴퓨팅"이라고 번역하기에는 완전한 명사형으로 떨어지는 단어가 아니라서 오히려 오해를 불러일으키게 되는 것 같다.
결국 원문을 유지하여 Trusted Computing으로 하기로 했었다. 결국 원문을 유지하여 Trusted Computing으로 하기로 했었다.
3) 자연스러운 맥락 전달 3) 자연스러운 맥락 전달
다양한 문장을 번역하면서 한국어에서는 거의 쓰지 않은 다양한 표현을 번역하는 것이 조금 난감했다. 다양한 문장을 번역하면서 한국어에서는 거의 쓰지 않은 다양한 표현을 번역하는 것이 조금 난감했다.
영어와 한글이 때로는 같은 뉘앙스나 자연스러움으로 전달되기 매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고 번역의 퀄리티를 충족시키면서 번역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임을 느꼈다. 영어와 한글이 때로는 같은 뉘앙스나 자연스러움으로 전달되기 매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고 번역의 퀄리티를 충족시키면서 번역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임을 느꼈다.
특히 The Picture라는 제목이 이상했는데, 그림이라고 번역하는 것은 매우 어색하고 캐임브리지 백과사전으로 찾아보니 "an idea of what something is like"으로 특히 The Picture라는 제목이 이상했는데, 그림이라고 번역하는 것은 매우 어색하고 캐임브리지 백과사전으로 찾아보니 "an idea of what something is like"으로
대략적인 컨셉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리눅스는 무엇인가 페이지에서 리눅스에 대해 처음으로 소개하는 글의 소제목으로 있었고 이후에 나오는 대응되는 제목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관점에서"라고 의역을 하게 됐다. 이후에 The Larger Picture라는 제목이 있었는 데 이것은 "더 넓은 관점에서"라는 새로운 제목을 지었다. 이런 식으로 번역하는 것이 올바를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으나 이렇게 하지 않으면 제목이 너무 이상해진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webslate에 의견을 남기고 제목을 새로 지었다. 대략적인 컨셉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리눅스는 무엇인가 페이지에서 리눅스에 대해 처음으로 소개하는 글의 소제목으로 있었고 이후에 나오는 대응되는 제목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관점에서"라고 의역을 하게 됐다. 이후에 The Larger Picture라는 제목이 있었는 데 이것은 "더 넓은 관점에서"라는 새로운 제목을 지었다. 이런 식으로 번역하는 것이 올바를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으나 이렇게 하지 않으면 제목이 너무 이상해진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webslate에 의견을 남기고 제목을 새로 지었다.
4) 용어의 통일성 4) 용어의 통일성
같은 단어를 다르게 번역하는 실수가 간혹 발생하게 되는 것이 문제였다. 또한, 다른 사람이 번역할 때 같은 용어를 다른 사람이 번역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꼈다. 같은 단어를 다르게 번역하는 실수가 간혹 발생하게 되는 것이 문제였다. 또한, 다른 사람이 번역할 때 같은 용어를 다른 사람이 번역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꼈다.
이것을 방치하면 번역의 퀄리티를 낮춰 이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webslate의 용어집을 활용하여 혼란을 줄만한 단어 번역 사례를 용어집으로 정리했다. 이것을 방치하면 번역의 퀄리티를 낮춰 이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webslate의 용어집을 활용하여 혼란을 줄만한 단어 번역 사례를 용어집으로 정리했다.
5) 배경지식의 필요 5) 배경지식의 필요
실제로 배경지식을 알아야 정확한 해석을 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료조사를 하고 해당 내용을 이해하여 더 정확한 번역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배경지식을 알아야 정확한 해석을 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료조사를 하고 해당 내용을 이해하여 더 정확한 번역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들어 message board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있다고 하는데 이게 정확히 어떤 것인지 알기 위해서 그 소프트웨어를 찾아보았다. 처음에는 게시판으로 번역하려고 했었는데 검색하고 찾아보니 이 소프트웨어는 협업이나 논의를 하는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였다. 따라서 그냥 "게시판"으로 번역하기 보다는 웹사이트에서 직접 소개한 것 처럼 "포럼 게시판"으로 번역하였다. 예를들어 message board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있다고 하는데 이게 정확히 어떤 것인지 알기 위해서 그 소프트웨어를 찾아보았다. 처음에는 게시판으로 번역하려고 했었는데 검색하고 찾아보니 이 소프트웨어는 협업이나 논의를 하는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였다. 따라서 그냥 "게시판"으로 번역하기 보다는 웹사이트에서 직접 소개한 것 처럼 "포럼 게시판"으로 번역하였다.
6) 번역 스타일의 퀄리티 6) 번역 스타일의 퀄리티
자연스러운 문장 구조의 구성으로 맞추는 것이 맞을 지 어색하더라도 최대한 원본 형식에 맞추는 것이 맞을지 고민하는 경우 등이 있었다. 자연스러운 문장 구조의 구성으로 맞추는 것이 맞을 지 어색하더라도 최대한 원본 형식에 맞추는 것이 맞을지 고민하는 경우 등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실제로 mdn, 위키백과 등의 번역된 문서를 참조하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타일에 맞게 작성하도록 노력했다. 이러한 경우 실제로 mdn, 위키백과 등의 번역된 문서를 참조하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타일에 맞게 작성하도록 노력했다.
## 감상 ## 감상
이번 보고서를 통해 자유 오픈소스OS를 사용하는 것이 왜 바람직한지 타당한 근거에 대해 다양하게 알게 되었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자유 오픈소스OS를 사용하는 것이 왜 바람직한지 타당한 근거에 대해 다양하게 알게 되었다.
특히, DRM과 Trusted Computing의 개념에 대한 설명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윈도우에 비해 리눅스가 가지는 장점을 알게 됐다. 특히, DRM과 Trusted Computing의 개념에 대한 설명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윈도우에 비해 리눅스가 가지는 장점을 알게 됐다.
저작권을 지키는 것은 중요한 일이긴 하지만 내가 사용하는 개인 컴퓨터를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결과를 불러일으키게 된다. 저작권을 지키는 것은 중요한 일이긴 하지만 내가 사용하는 개인 컴퓨터를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결과를 불러일으키게 된다.
......
0% Loading or .
You are about to add 0 people to the discussion. Proceed with caution.
Please register or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