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cd3eff9e8ab87b3eaca017245ace071d68ff32b4 Mon Sep 17 00:00:00 2001
From: junseo lee <dlwnstj99@ajou.ac.kr>
Date: Fri, 23 Jun 2023 22:06:18 +0900
Subject: [PATCH] Update README.md

---
 README.md | 4 ++--
 1 file changed, 2 insertions(+), 2 deletions(-)

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4bf4c6d..db248c7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43,10 +43,10 @@
 2.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자동완성 사용 지양
     * 코딩에 익숙하지 않은 비전공자도 영상을 볼 수 있으므로 단축키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코드를 작성했다.
     * 또한, 사전에 모든 그래프를 미리 확인한 후, 그래프 구현 파트는 일일이 코드를 작성했다.
-    * 자동완성 없이 모두 구현하려니 리허설 시간이 생각보다 오래 걸렸다.
+    * 자동완성 없이 녹화하면서 구현하려니 사전 리허설 시간이 생각보다 오래 걸렸다.
 
 ## 느낀점 및 마무리
 * matplotlib와 seaborn 라이브러리를 몇 년간 사용해왔지만, 새로운 기능들을 접할 수 있었다.
 * 기존에 모르고 그냥 쓰던 파라미터들에 대하여 자세히 알게 되었다.
-* 자주 사용하던 함수들도 자동완성없이 실시간으로 구현하려니 생각보다 막히는 부분이 많았고, 그만큼 성장할 수 있었다.
+* 자주 사용하던 함수들도 자동완성없이 실시간으로 구현하려니 생각보다 막히는 부분이 많았고, 다시 찾아보며 그만큼 성장할 수 있었다.
 * pygwalker라는 새로운 라이브러리를 처음 접했고, 이것을 사용하는 유저들이 증가하여 더욱 매력있는 오픈소스가 되었으면 좋겠다.
-- 
Git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