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foss_lab/lab0921/readme.md b/foss_lab/lab0921/readme.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588d7acc31770f897a50a1ae3706371c9a49392a
--- /dev/null
+++ b/foss_lab/lab0921/readme.md
@@ -0,0 +1,48 @@
+ps - process status
+
+buffer의 3가지
+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
+UID - User ID , PID - Process ID, PPID - Parent PID, PRI - Priority Queue
+
+Run
+fg ↔ bg
+S(Stop)↔K(Kill)
+
+로딩 - a.out이 런타임에 메모리에 올리는 것
+
+sleep 4 - 4초동안 sleep
+
+sleep 3 & - [Job] ProcessID
+
+sleep 3000 ; echo end & → { sleep 3000 ; echo end ; } &
+포어 그라운드로 돌아가던 것을 백그라운드로 동작하게 한다.
+
+ctrl + c - 실행중인 fg를 죽인다.
+
+jobs - 실행중인 명령어 확인
+
+리눅스 ctrl + d 는 윈도우 ctrl + z와 같다
+
+ bg or fg %Job ID -  bg를 fg로 바꾸는 명령어
+
+실행중인 bg 죽이는 방법
+kill ps  or kill %JobID / fg JobID 후에 ctrl + c로 중지
+
+w - 접속중인 유저가 실행중인 명령어 등을 볼 수 있다.
+
+a.out > out1 을 설명하시오.
+a.out이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stdout 내용을 출력하여 out1에 복사한다.
+
+a.out < infile9899
+a.out 의 인풋을 따로받지 않고 infile9899의 내용이 인풋으로 들어간다.
+
+ls -al 했을 때 맨앞의 숫자가 1은 소프트링크이다.
+
+numberd pipeline or unnamed pipeline - mkfifo
+
+인풋이 필요한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작업해야할 때 리다이렉션을 해야한다. 
+
+a.out &> all.text의 출력순서 (stdout, stderr)가 바뀐이유?
+각각의 버퍼 장치가 소프트 링크로 각각 존재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