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foss_lab/lab0928/readme.md b/foss_lab/lab0928/readme.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481e7a388c030c8988685bc93fd1ea9e4db616ac
--- /dev/null
+++ b/foss_lab/lab0928/readme.md
@@ -0,0 +1,42 @@
+글로빙
+
+echo ~ : 홈 디렉터리가 나온다.
+echo * : 
+* : 쉘의 기능으로 현재 디렉터리에 
+파일을 숨기려면 파일 앞에 . 을 붙여 생성
+글로빙 : 
+shopt -s dotglob : echo를 사용했을 때 .이 붙은 숨겨진 파일을 찾을 수 있다.
+shopt -s nullglob : echo했을 때 null이면 null 출력
+
+리눅스 파일시스템은 트리 구조로 루트는 고아 노드라고 한다.
+
+cat hllo.c hello.c hello.c : hello.c의 내용을 3번 stdout에 출력한다.
+
+grep 찾는 문자열 파일 - 파일에 찾는 문자열이 일치하는 구문을 출력한다.
+
+wc : word count의 약자로 stdin을 입력받고 control + d를 하면 줄, 문자열 개수, 총 글자수 출력
+
+cat > file1
+100 200 300
+400 500 600
+→ stdout file1
+
+control z : 벨, control m : new line , 
+
+who | wc : 로그인한 사람, 문자열 개수 , 총 문자수 , who | wc -l : 로그인한 사람만 볼 수 있다.
+
+who | tee who.result : 
+
+어떤 명령어 뒤에 & 사용하면 백그라운드
+
+ls -l a.out b.out c.out |& wc : 
+
+ls -l b.out 2> err : 없으면 err이라는 파일에 집어넣는다.
+
+free : 시스템의 메모리 공간을 보여준다.
+
+split -l 라인 수 파일 명 : 파일의 내용을 라인 수 별로 잘라준다.
+
+uniq : 어떤 라인이 이전에 입력한 적이 있으면 대답(출력)하지 않는다. 혹은 파일에 중복된 내용을 삭제해준다.
+
+touch file - 수정할 데이터를 바꾸거나 새로운 빈 파일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