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week11/README.md b/week11/README.md index 92e9ceabcfdd1d0771f13e0ed22cf1470419f7a7..7fbfe68d5d4baf43c3402f2ff0622b306d4484a5 100644 --- a/week11/README.md +++ b/week11/README.md @@ -1,5 +1,9 @@ # 연구노트 11주차 (11/10 - 11/16) -## 활동 내용 -Dataset을 만들기 위해 Chromedriver와 Selenium을 이용한 파이썬 코드를 작성해 크롤링을 진행하였다.([crawler.py](https://git.ajou.ac.kr/ldh/undergraduate-project/-/blob/main/week11/crawler.py)) - -이후 이미지의 크기를 읽어 YOLO Dataset 구조로 변형하고 자동으로 Labeling하는 코드를 작성하였다.([yololabeling2.py](https://git.ajou.ac.kr/ldh/undergraduate-project/-/blob/main/week11/yololabeling2.py)) +## 데이터 크롤링 +Dataset을 만들기 위해 Chromedriver와 Selenium을 이용한 파이썬 코드를 작성해 크롤링을 진행하였다. ([crawler.py](https://git.ajou.ac.kr/ldh/undergraduate-project/-/blob/main/week11/crawler.py)) + + + + +## 데이터 라벨링 +이미지의 크기를 읽어 YOLO Dataset 구조로 변형하고 자동으로 Labeling하는 코드를 작성하였다. ([yololabeling2.py](https://git.ajou.ac.kr/ldh/undergraduate-project/-/blob/main/week11/yololabeling2.py)) diff --git a/week13/README.md b/week13/README.md index a84c2e4e79c43d0ace26a643847b9a9eed9891c4..3509d2f894d28fe81040e53a18cdd1d1b6c28870 100644 --- a/week13/README.md +++ b/week13/README.md @@ -1,3 +1,4 @@ # 연구노트 13주차 (12/24 - 11/30) ## 활동 내용 -성능을 더 개선시키기 위해 Labeling의 Box를 물건 Image에 더욱 밀착하게 되도록 바꾸었다. \ No newline at end of file +성능을 더 개선시키기 위해 Labeling의 Box를 물건 Image에 더욱 밀착하게 되도록 바꾸었다. +1000개만 골라 만들기로 하였다. \ No newline at end of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