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201920756_\354\235\264\354\236\245\354\233\220.pptx" "b/201920756_\354\235\264\354\236\245\354\233\220.pptx"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ca7303b4eaed88a2dec370618cb5c9ca60d04be4 Binary files /dev/null and "b/201920756_\354\235\264\354\236\245\354\233\220.pptx" differ 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9190ab26d3cd28facc5a06118e60dd694b5e939d..2903383205f3d838910915500e923578dacae476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2,8 +2,22 @@ ## 아이템 선정 동기 -공지사항을 slack으로 받아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서 이 아이템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학교 공지사항을 놓치지 않고 받아볼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현재 학교 공지사항을 크롤링해서 카카오톡으로 전송해주는 서비스를 누군가가 개발하여 +이미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아주대학교 공지사항만 전송해주고 단과대 공지사항이나 학과 공지사항은 크롤링해주지 않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있었습니다. 또한 카카오톡은 개인적이고 사적인 용도로만 사용하고 싶었고 공지사항 같은 업무 관련 메시지는 다른 플랫폼에서 +받아보고 싶었기 때문에 slack을 선택했습니다. 이렇게 크롤링해서 slack으로 메시지 전송하는 것을 goroutine으로 인해 크롤링에 강력한 Golang을 +이용해 개발했습니다. -## 프로젝트를 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 및 감상 +## 프로젝트를 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 -문제점은 없었고 자주 사용할 것 같습니다. \ No newline at end of file +개발을 Golang으로 진행하면서 문제점이 몇가지 있었습니다. 이전에 Golang을 사용해보긴 하였지만 그 기간이 길지 않아 개강을 하고 4달이 지난 +현재에는 Golang의 문법을 많이 까먹은 상태였습니다. 기본적인 문법을 헷갈리는 부분도 있었고 goroutine을 사용해 서로 간에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channel에 대한 활용법도 기억나지 않아 다시 공부한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또한 slack을 연동하는 사례를 구글링하면서 찾아봤는데 검색되는 +사례의 slack UI와 현재 사용할 때의 slack UI가 달라 따라가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 감상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Golang 문법을 다시 공부하고 활용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특히 goroutine을 통한 동시성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Golang의 속도를 체감하게 되었습니다. Slack UI가 변경되어 개발 과정에서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다른 사람이 진행한 사례를 무조건 +따라가기보다 직접 찾아보고 해결하는 자세도 갖춰졌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Golang과 slack을 활용한 실생활에 유용한 프로젝트 경험을 쌓을 수 +있어 뿌듯하고 만족스러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