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github 아이디로 진행하였기에 기여한 문장 확인은 해당 항목에서 탐색-히스토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lmj0927 ID로 작성하였다.
개인 github 아이디로 진행하였기에 기여한 문장 확인은 해당 항목에서 탐색-히스토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lmj0927 ID로 작성하였다.
대부분 진행하였던 번역 구간에서는 100% 채우기 위해 모든 문장을 번역하였지만 번역을 하지 말라는 comment가 담긴 항목이 있어서 퍼센트상 100%가 아닌 경우가 존재한다.
## 번역하면서의 문제점
## 번역하면서의 문제점
번역하면서의 문제점은 크게 다음과 같았다.
번역하면서의 문제점은 크게 다음과 같았다.
1. 용어 혼동성 고려
1. 용어 혼동성 고려
용어에 대해서 혼동성이 오는 것을 판단하여 어떠한 번역이 올바른지 고민을 크게 하였다. 예를 들어 Export라는 단어는 '내보내다'라고 번역할 수 있으나 Export라는 표현이 '내보내다'라는 단어로 쉽게 판단할 수 있을까에 대해 생각하였을 때 commit이라는 단어를 '저지르다'가 아닌 커밋 그 자체로 사용하는 것처럼 Export를 '내보내다', Unexport는 '내보내기를 취소하다'로 번역하기보단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올바르다 판단하였다. 이외에도 이러한 표현이 있기에 올바른 번역을 기여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다.
용어에 대해서 혼동성이 오는 것을 판단하여 어떠한 번역이 올바른지 고민을 하였다. 예를 들어 Export라는 단어는 '내보내다'라고 번역할 수 있으나 Export라는 표현이 '내보내다'라는 단어로 쉽게 판단할 수 있을까에 대해 생각하였을 때 commit이라는 단어를 '저지르다'가 아닌 커밋 그 자체로 사용하는 것처럼 Export를 '내보내다', Unexport는 '내보내기를 취소하다'로 번역하기보단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올바르다 판단하였다. 이외에도 이러한 표현이 있기에 올바른 번역을 기여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다.
2. 일관성
2. 일관성
번역을 진행하면서 용어나 명칭에 대해서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같은 단어에 대해서 따라서 번역을 할 때 명칭을 통일하였으며 이전 기여한 사람들의 표현을 되도록 유지하면서 올바른 번역을 하려고 노력하였다.
번역을 진행하면서 용어나 명칭에 대해서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같은 단어에 대해서 따라서 번역을 할 때 명칭을 통일하였으며 이전 기여한 사람들의 표현을 되도록 유지하면서 올바른 번역을 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일관성을 위해 Apx-Gui에서는 자주 쓰이는 용어 모음집이 있었는데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용어를 통일하였다. 또한 다른 항목에서 같은 문장을 쓰는 경우가 존재하였기에 이전의 번역에서 사용했던 글을 그대로 써 같은 문장에서 다른 문장으로 번역되지 않게 신경을 써야했다.
3. 수정
3. 수정
위의 일관성과 표현의 오류에 대해 이전의 기여한 번역들을 모두 확인하면서 잘못된 표현이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되는 것이었다.
위의 일관성과 표현의 오류에 대해 이전의 기여한 번역들을 모두 확인하면서 잘못된 표현이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키보드를 자판으로 해석한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키보드로 정정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여 정정하였다. 이러한 부분들은 이전 번역했던 부분의 모두 살펴보야했으며 중간중간 같이 수정을 못했던 경우가 더러 발생할 수 있기에 2,3번 검토하는 것이 어려움이었다.
## 감상
## 감상
Weblate를 이용하여 번역 기여활동을 하면서 만약 내가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국제화하여 상용하고 싶을 때 모든 언어를 팀 단위로 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인데, 이러한 번역 도구들을 통해 번역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몸소 느끼며 오픈소스의 중요함을 깨달았다.
Weblate를 이용하여 번역 기여활동을 하면서 만약 내가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국제화하여 상용하고 싶을 때 모든 언어를 팀 단위로 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인데, 이러한 번역 도구들을 통해 번역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몸소 느끼며 오픈소스의 중요함을 깨달았다.
또한 문제점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는데 엄격한 권한 관리가 없기에 잘못된 번역에 대해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수정이 힘들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문제점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는데 엄격한 권한 관리가 없기에 잘못된 번역에 대해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수정이 힘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이전의 기여한 번역자의 문구에서 키보드를 자판으로 번역한 문장들이 여러 있었는데 이는 자판보다는 키보드가 정확한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번역되지 않은 문장 뿐 만 아니라 다른 기여자의 문장도 한번씩 보면서 잘못된 표현을 확인해봤는데, 만약 확인하는 사람 없이 이것이 반영된다고 가정하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모든 언어에 대해 검증을 하기에는 쉽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번역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렇기에 기여하는 입장으로는 문장을 신중하게 번역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이전의 기여한 번역자의 문구에서 키보드를 자판으로 번역한 문장들이 여러 있었는데 이는 자판보다는 키보드가 정확한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번역되지 않은 문장 뿐 만 아니라 다른 기여자의 문장도 한번씩 보면서 잘못된 표현을 확인해봤는데, 만약 확인하는 사람 없이 이것이 반영된다고 가정하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모든 언어에 대해 검증을 하기에는 쉽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번역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