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87c8d12f58267f6211cf1fc1cb81966379ba59ad..d1ed81f21593bcd04ad8a94ed5d91c0fec02d870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1,34 +1,34 @@ # 2022-1 FOSS 기말 프로젝트: Mageia 번역 -#### 개요 +### 개요 ___  - 번역 주제 : Mageia - 번역자 : 임수진(201920699) - Mageia transifex : https://www.transifex.com/MageiaLinux/mageia/ -#### 1. 번역 주제 및 Mageia 소개 +### 1. 번역 주제 및 Mageia 소개 ___ -##### Mageia란? +#### Mageia란? [이미지 : 2_page][이미지 : 3_run] - https://www.mageia.org/en/ - 마제야(mageia)는 유닉스 계열에 운영 체제 중 하나이다. 맨드리바 리눅스의 전직 직원들과 개발자, 커뮤니티 구성원에 의해 2010년 부터 개발되고, 2011년 6월 첫 버전이 출시되었다. -##### 번역 주제 및 선정 배경 +#### 번역 주제 및 선정 배경 - transifex에서 mageia 팀에 합류하여, mageia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한글로 번역한다. - 이전에 Ubuntu를 사용하면서 한국어 버전으로 도움을 많이 받았다. 그래서 비슷한 유닉스 계열의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Mageia를 번역하여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기여를 하고자 하였다. - Mageia 홈페이지를 보면 굉장히 다양한 언어로 바꾸어 볼 수 있었는데, 그중에 한국어는 없었다. 아직 번역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런 것으로 보였고, 한국어 홈페이지가 생길 수 있도록 기여하고 싶었다. [이미지 : 4_lang] -#### 2. 번역 과정 +### 2. 번역 과정 ___ -##### 사용 프로그램 +#### 사용 프로그램 [이미지 : 9_process] - transifex에서 직접 번역 문자열을 수정할 수도 있었지만,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생각하여 po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진행했다. [이미지 : 5_qt] - po 파일을 수정할 때는 일반 텍스트 에디터의 경우 불편함이 많아서 Qt Linguist를 이용하여 수정하였다. 아래와 같이 번역할 문자열이 나누어져 있고, 번역을 다했을 경우 표시를 해둘 수 있어서 굉장히 편리했다. -##### 번역 시 주의한 부분 +#### 번역 시 주의한 부분 [이미지 : 6_comm] - 번역 시 개발자 주석이 달려있는 경우 이를 참고하여 번역을 진행하였다. 위와 같이 번역할 문자열은 "state"이지만, 주석을 통해서 배터리에 대한 state를 알려주는 부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지 : 7_trans] @@ -36,7 +36,7 @@ ___ [이미지 : 8_button] - 설치 마법사와 같은 프로그램 내용을 번역할 때, "설치를 진행하는 경우 다음을 클릭하고, 수정 사항이 있는 경우 이전을 눌러주세요."라는 문장이 있으면 버튼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괄호를 통해 버튼임을 표시하였다. (예. "설치를 진행하는 경우 [다음]을 클릭하고, 수정 사항이 있는 경우 [이전]을 눌러주세요.") 이는 mageia를 번역한 다른 사람들의 한글 번역본을 참고하여 동일하게 형식을 맞추어준 것이다. -#### 3. 번역 결과 +### 3. 번역 결과 ___ - 번역 자원 : 4개 -- dnfdragora @@ -46,7 +46,7 @@ ___ - 번역 문자열 : 522개 - 번역 단어 수 : 3,264개 -#### 4. 마무리 +### 4. 마무리 ___ - 평소에 오픈소스 도구를 사용해 보면서 한글화가 안된 프로그램이 많았는데, 많은 사람들이 transifex를 알고 함께한다면 다양한 도구를 쉽게 접하고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였다. - 우분투 한글 버전을 사용하면서 번역이 매우 잘 되어있어서 불편함이 없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주어서 완성된 것이라 생각하니 신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