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582ee9f337a559d760ac0993c77d2c52fb6fd33a..d6293ee247457ce64763b6507bacf86b12b2f64f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1,8 +1,8 @@ -# FOSS2023-1_final +# FOSS2023-1_final 보고서서 -저는 이번 기말 프로젝트를 앱스미스 튜토리얼로 진행하였습니다. 저는 좋은 오픈소스에 대해서 찾아보고 있던 중 도커에서 1,000만회 이상 다운로드되었고, 깃허브에서 27000개 이상의 별을 받은 앱스미스를 발견하였습니다. 앱스미스에 대해 알아본 결과 앱스미스는 로우코드 프레임워크로 제한된 개발 지식을 가진 사용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의 장벽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강력한 도구였습니다. 따라서 저는 앱스미스를 이번 프로젝트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고 이번 영상 강의 프로젝트를 통해 대학생들과 기업체 개발자들에게 앱스미스 플랫폼의 사용 방법과 효과를 알리고, 원활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는 동기로 진행하였습니다. -동영상 강의에서는 앱스미스를 활용하여 간단한 도서관 시나리오를 구현하였습니다. 실습의 목표는 앱스미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조회와 수정이 가능한 페이지를 만들어보는 것이었습니다. 강의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Book Table과 User Table로 저의 깃허브(https://github.com/womok2/AppSmith)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BookTable은 캐글의 Book Recommendation Dataset을 참고하여 수정하여 만든 것입니다. Book Recommendation Dataset은 Public domain 라이센스이기 때문에 제가 이번 프로젝트에 쓰일 수 있게 조금 수정을 한 후 올렸습니다. +저는 이번 기말 프로젝트를 앱스미스 튜토리얼로 진행하였습니다. 저는 좋은 오픈소스에 대해서 찾아보고 있던 중 도커에서 1,000만회 이상 다운로드되었고, 깃허브에서 27000개 이상의 별을 받은 앱스미스를 발견하였습니다. 앱스미스에 대해 알아본 결과 앱스미스는 로우코드 프레임워크로 제한된 개발 지식을 가진 사용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의 장벽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강력한 도구였습니다. 따라서 저는 앱스미스를 이번 프로젝트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고 이번 영상 강의 프로젝트를 통해 대학생들과 기업체 개발자들에게 앱스미스 플랫폼의 사용 방법과 효과를 알리고, 원활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는 동기로 진행하였습니다. +동영상 강의에서는 앱스미스를 활용하여 간단한 도서관 시나리오를 구현하였습니다. 실습의 목표는 앱스미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조회와 수정이 가능한 페이지를 만들어보는 것이었습니다. 강의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Book Table과 User Table로 저의 깃허브(https://github.com/womok2/AppSmith)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BookTable은 캐글의 Book Recommendation Dataset을 참고하여 수정하여 만든 것입니다. Book Recommendation Dataset은 Public domain 라이센스이기 때문에 제가 이번 프로젝트에 쓰일 수 있게 조금 수정을 한 후 올렸습니다. 강의에서 진행된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2,5 +12,6 @@ 4. 'Book'과 'User' 테이블에 데이터 연결 및 화면 구성 5. 책 대여와 관련된 데이터 수정 및 갱신 작업 시연 +동영상 내에서 저는 순차적으로 앱스미스 사용 방법과 구현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실습 시 사용하는 데이터와 화면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도 자세히 하였으며, 설명과 함께 실제로 화면을 공유하며 구현하는 모습이 함께 제공되어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따라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저는 앱스미스 튜토리얼에 대한 강의를 준비하면서 오류 발생했을 때 해결하기 어려웠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국내에서 앱스미스에 대한 정보와 문제해결 사례가 부족하였기 때문이었습니다. 따라서 직접 문제를 해결하는데 앱스미스에 대한 유튜브나 해외 커뮤니티를 방문하는 등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다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앱스미스 튜토리얼을 진행하면서, 저는 앱스미스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더욱 쌓아가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앱스미스를 이용한 새로운 웹프로젝틀를 구상중에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앱스미스 사용 방법과 효용성을 전달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된 것 같아 보람이 느껴졌습니다. +또한 저는 앱스미스 튜토리얼에 대한 강의를 준비하면서 오류 발생했을 때 해결하기 어려웠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국내에서 앱스미스에 대한 정보와 문제해결 사례가 부족하였기 때문이었습니다. 따라서 직접 문제를 해결하는데 앱스미스에 대한 유튜브나 해외 커뮤니티를 방문하는 등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다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앱스미스 튜토리얼을 진행하면서, 저는 앱스미스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더욱 쌓아가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앱스미스를 이용한 새로운 웹프로젝틀를 구상중에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앱스미스 사용 방법과 효용성을 전달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된 것 같아 보람이 느껴졌습니다. 국내에서도 개발자들이 앱스미스를 이용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