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한 아이템은 [Vanila OS](https://vanillaos.org/)로 번역 환경은 [Weblate](https://hosted.weblate.org/projects/vanilla-os/-/ko/)에서 진행하였다. Weblate은 i18n(국제화) 버전관리 시스템으로 libre 웹 기반 번역 도구이다. 이를 통해 참여할 프로젝트를 찾아 번역을 하였다. 실제로 사용해본 도구에 대해서 번역을 진행하고 싶었으나 사용해본 도구 폭이 넓지 않고 대부분 기여가 되있었기에 이전 리눅스 프로그램 조사를 하면서 살펴보았단 Vanilla OS에 대해서 번역을 진행하였다.
선정한 아이템은 [Vanila OS](https://vanillaos.org/)로 번역 환경은 [Weblate](https://hosted.weblate.org/projects/vanilla-os/-/ko/)에서 진행하였다. Weblate은 i18n(국제화) 버전관리 시스템으로 libre 웹 기반 번역 도구이다. 이를 통해 참여할 프로젝트를 찾아 번역을 하였다. 실제로 사용해본 도구에 대해서 번역을 진행하고 싶었으나 사용해본 도구 폭이 넓지 않고 대부분 기여가 되있었기에 이전 리눅스 프로그램 조사를 하면서 살펴보았단 Vanilla OS에 대해서 번역을 진행하였다. Vanilla OS는 Ubuntu와 같은 리눅스 시스템이며 자체적으로 GNOME 환경을 변형해서 사용하는 우분투와는 달리, 이전에 중단된 우분투 그놈 변형판과 비슷하게 변형이 가해지지 않은 순정 GNOME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한다. 이외에 자체 패키지 관리자인 apx시스템 등 여러 시스템이 있지만, 가장 우분투를 사용하기에 우분투 설정 영상과 같이 가이드화 된 양식을 주로 찾을 수 있기에 Vanilla OS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번역의 기여에 가이드 라인없이 한국어로 된 설치, 초기 설정 등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여 아이템을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