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nippets Groups Projects
Commit b66cfe6e authored by 정 서연's avatar 정 서연
Browse files

Update README.md

parent e69b8889
No related branches found
No related tags found
No related merge requests found
# FOSS_Final # FOSS_Final
## 보고서
20201187 정서연 20201187 정서연 (2반)
- The main [glTF Tutorial](gltfTutorial/README.md) - glTF 튜토리얼 메인 - The main [glTF Tutorial](gltfTutorial/README.md) - glTF 튜토리얼 메인
- A tutorial about [Physically Based Rendering (PBR) in glTF](PBR/README.md) - 물리기반 렌더링 튜토리얼 - A tutorial about [Physically Based Rendering (PBR) in glTF](PBR/README.md) - 물리기반 렌더링 튜토리얼
- A tutorial for [Adding Material Extensions to glTF Models](AddingMaterialExtensions/README.md) - glTF 모델에 재질을 추가하는 튜토리얼 - A tutorial for [Adding Material Extensions to glTF Models](AddingMaterialExtensions/README.md) - glTF 모델에 재질을 추가하는 튜토리얼
## 보고서
* 아이템 선정 동기 * 아이템 선정 동기
glTF라는 문서를 번역해놓은 내용이 없어 문서를 읽을 때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glTF라는 문서를 번역해놓은 내용이 없어 문서를 읽을 때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 -14,8 +16,65 @@ glTF라는 문서를 번역해놓은 내용이 없어 문서를 읽을 때 어 ...@@ -14,8 +16,65 @@ glTF라는 문서를 번역해놓은 내용이 없어 문서를 읽을 때 어
* 번역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 * 번역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
비슷한 뜻을 가진 한국어가 많거나 혹은 영어 단어가 여러 뜻을 가져서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경우가 있어 오히려 문장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비슷한 뜻을 가진 한국어가 많거나 혹은 영어 단어가 여러 뜻을 가져서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경우가 있어 오히려 문장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영어를 그대로 두는 것과 한국어로 푸는 것 중 어떤 게 좋을지 헷갈렸다.
* 감상 * 감상
영어 단어를 해석하며 이걸 어떻게 하면 더 자연스러운 한국말로 번역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이 되었다. 영어 단어를 해석하며 이걸 어떻게 하면 더 자연스러운 한국말로 번역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이 되었다.
단순히 번역만 해놓는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읽으면서 관련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더 어렵게 느껴진 것 같다. 잘 모르는 영어 단어도 있고 다중의미를 가진 단어도 많아서 번역하는데 애를 좀 먹었었다. 단순히 번역만 해놓는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읽으면서 관련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더 어렵게 느껴진 것 같다. 잘 모르는 영어 단어도 있고 다중의미를 가진 단어도 많아서 번역하는데 애를 좀 먹었었다. 번역하면서 영어 단어를 그대로 두는 게 나을지 아니면 한국어로 푸는 게 나을지 고민이 느껴지는 부분이 많이 있었다. glTF에 대해 번역을 하고나니 관련 내용에 대해 대략이나마 알 수 있었고 상당히 흥미로웠다.
### glTF에 대한 설명
glTF(GL Transmission Format의 줄임말)는 3차원 장면과 모델을 표현하는 파일 포맷으로 JSON 표준에 기반하고 있다. 크로노스 그룹 (Khronos Group)의 3D Format 작업반에서 제정한 표준이며, HTML5DevConf 2016 행사에서 처음 발표되었다. 효율성과 상호 운용성을 강조한 파일 포맷으로서, 실행에 필요한 부하를 최소화 하도록 설계되었다.
- 역사
2012년 3월, 크로노스 그룹은 COLLADA와 WebGL을 결합하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Fabrice Robinet은 JSON 포맷에 기반한 효율적인 이진 파일을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고, 2012년 SIGGRAPH에서 개최된 WebGL meetup 행사에서 Brandon Jones와 Fabrice Robinet 이 첫번째 glTF 관련 데모를 보여 주었다. 초기에는 WebGL Transmissions Format (WebGL TF)으로 불리었다.
2013년 3월, Cesium에서는 glTF 채택을 공식 발표하였고, 2017년 8월 10일 3D Tiles Archived 2017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로 OGC Community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이 표준은 glTF 기반으로서 위치 데이터 정보, 메타데이터, 스타일 데이터를 대규모의 3차원 지형 데이터 세트로 저장하고 이를 스트리밍하는데 활용하였다.
glTF 1.0
2015년 10월 19일 glTF 1.0 표준이 공식 발표되었다.
glTF 2.0
2017년 3월 3일 GDC WebGL/WebVR/glTF Meetup 행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glTF 2.0을 3차원 자산 표현 포맷으로 자신의 제품군인 Paint 3D, 3D Viewer, Remix 3D, Babylon.js, and Microsoft Office에 사용한다고 공식 발표하였다. 같은 행사에서 Microsoft, Fraunhofer와 University of Pennsylvania 학생들은 glTF 2.0 컨텐츠를 WebGL, DirectX, and Vulkan을 이용하여 렌더링하는 것을 시연하였다.
2017년 3월, 구글은 glTF 기능 확장판인 Draco를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point cloud 데이터와 메쉬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glTF 2.0 표준은 2017년 6월 5일, Web3D 2017 Conference 행사에서 공식 발표되었다.
GLB
GLB는 glTF에서 사용하는 이진 파일 포맷으로 외부 이미지를 참조하는 대신 직접 텍스처를 포함하는데 사용된다. glb 파일은 Facebook 3D Posts에 사용된다.
소프트웨어 생태계
glTF 로더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WebGL engines 과 Three.js, Babylon.js, Cesium, PEX, xeogl, 및 A-Frame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오픈소스 glTF 변환 도구는 COLLADA, FBX 및 OBJ를 지원하며. Assimp는 glTF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한다..
glTF 파일은 다양한 3D 편집도구를 사용해 내보내기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Blender, Vectary, Autodesk 3ds Max (using Verge3D exporter), Autodesk Maya, Modo, Paint 3D, Substance Painter, CLO 3D Archived 2021년 1월 20일 - 웨이백 머신 등이 포함된다.
오픈소스인 glTF utility libraries를 이용하면 자바스크립트, Node.js, C++, C#, 자바, Go, 러스트, Haxe, Ada, TypeScript와 같은 다양한 언어에서 glTF를 활용할 수 있다.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glTF validator를 사용하면 만들어진 파일이 glTF 표준에 적합한지를 테스틀 할 수 있다.
관련된 소프트웨어 도구 정보는 glTF GitHub repository 웹 페이지에서 얻을 수 있다.
- glTF 의 기본 구조
GlTF 의 핵샘은 JSON 파일 이다. 이 파일은 3D 장면의(scene)의 전체 내용을 기술 한다.
장면 그래프를 정의하는 노드 계층의 자체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 됩니다. 장면에 나타나는 3D 객체는 노드에 연결된 메쉬를 사용 하여 나타 낸다.
재질(Materials)은 객체의 모양을 나타낸다.
애니메이션(Animations)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3D 오브젝트가 어떻게 변형( 예를 들어, 회전 변환) 되는지를 기술 한다.
스킨(skins)은 스켈레톤 포즈를 기반으로 오브젝트의 기하 정보가 어떻게 변형되는지 나타 낸다.
카메라(camreas)는 렌더러의 뷰(시점)의 구성을 기술 한다.
### 참조 링크
glTF 번역 파일: https://drive.google.com/file/d/1MRv8we0dDDkWrKYbgEc2Y3GHTFM2vEzh/view?usp=share_link
fork한 git 프로젝트 링크: https://git.ajou.ac.kr/hwan/glTF-Tutorials-Korean-Translation
참조한 교수님 프로젝트 링크: https://git.ajou.ac.kr/hwan/glTF-Tutorials-Korean-Translation/-/blob/master/gltfTutorial/README.md
0% Loading or .
You are about to add 0 people to the discussion. Proceed with caution.
Please register or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