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s -al을 하면 퍼미션을 나타내는 10 자리의 기호를 볼 수 있는데 제일 처음 있는 기호는 해당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나머지 기호들은 3개씩 묶음 기준으로 왼쪽부터 user의 퍼미션, group에대한 퍼미션, 해당 파일의 user가 아니며 group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에 대한 퍼미션을 나타낸다.
> * 위에서 말한 3개의 묶음 기호에는 rwx가 있으며 r은 read를 뜻하고 w는 write를 뜻하고 x는 실행을 뜻한다.
> * 퍼미션은 $chmod ### 명령어로 바꿀수 있으며 ### 대신에 세 자리에 들어가야 할 것은 순서대로 user, group, 제 3자에 주고 싶은 퍼미션에 관한 숫자를 적으면 된다.
> * 위의 $chmod 명령어에 적는 숫자의 종류로는 4, 2, 1와 이 숫자들의 합이 있으며 read는 4로 표현 write는 2로 표현, 실행은 1로 표현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모든 것을 다 허용 하고 싶다면 4+2+1 = 7 로 퍼미션을 조정하면 된다.
3. $whoami 명령어 사용
> * $whoami : 지금 사용중인 유저네임이 출력된다.
> * $whoami > pcc022 : pcc022란 파일을 생성 후 whoami 명령시 출력될 내용 즉, 지금 사용중인 유저네임이 pcc022란 파일에 저장된다.
> * $whoami >> output : 리디렉션에서 > 가 아닌 >> 를 사용시 output이란 파일에 덮어 쓰지 않고 내용을 추가하게 된다.